😆만 나이로 통일
나이 세는 방법은 총 세 가지가 있었습니다. 태어날 때부터 1살로 세는 '한국식 나이', 현재 연도에서 태어난 연도를 빼는 '연 나이', 태어날 때를 0살로 세고 생일이 지날때 마다 나이를 더하는 '만 나이'가 있습니다.
그 동안 나이 계산법이 통일되지 않아 불편한 점이 이만 저만이 아니었는데요, 올해 6월 28일부터 우리나라 나이를 만 나이로 통일이 되어 최대 두 살까지(생일이 안 지났다면) 어려질 수 있습니다👍
💸최저시급 1만 원, 얼마 남지 않았다!
2023년 최저시급의 2022년보다 5% 올라 9620(2022년 9160원)으로 책정되었습니다. 최저시급은 최저임금위원회에서 다음 해의 최저임금을 제시한 후 결정 및 고시하는
과정을 거칩니다. 하루 8시간, 주 5일 일한다면 200만 원이 넘는 금액을 받을 수 있죠.
🚥우회전 신호등 도입
전국에 화살표 모양의 우회전 신호등을 보급할 예정입니다. 2023년 1월 22일부턴 우회전 신호등이 설치된 곳에서 빨간 불에는 우회전할 수 없습니다. 지금까지 횡단보도 앞 일시정지 해야할 의무와 관련된 혼선이 있었는데, 이를 줄이기 위해 설치하는 것입니다.
🥛유통기한 대신 이것!
'엄마, 유통기한 지난 거 먹어도 돼?' 앞으론 이런 이야기를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. '소비기한 표시'가 그 자리를 대신합니다. 유통기간은 말 그대로 '유통을 할 수 있는 기간'이었고, 소비기한은 '소비를 할 수 있는 기간'이기 때문에 대부분 소비기한이 유통기한이 깁니다. 따라서, 식품 폐기량이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.
❌대학 입학금 폐지!
약 대학 등록금의 10% 수준에 책정되던 입학금을 전면 폐지합니다. 국공립대는 2018년부터 폐지했고, 사립대는 단계적으로 폐지하고 있었습니다. 이를 통해 대학 교육비 부담을 경감하는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.
👶부모만 되어도 돈 받는다!
만 0세 아동의 가정은 월 70만원, 만 1세 아동은 월 35만원의 급여를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. 이를 통해 저출산을 조금이라도 완화할 수 있을까요?
📅예수님, 부처님 감사합니다...!
앞으로 석가탄신일과 성탄절도 대체공휴일로 지정됩니다. 이번 2023년에는 5월 27일 석가탄신일이 토요일이기에 29일 월요일에 대체공휴일로 지정될 예정입니다.